제8차 청년전문가세미나
- 작성자 :
- KRD
- 작성일 :
- 24-01-17 16:18
- 일 시 :
- 1월 23일(목) 16:00-18:00
- 장 소 :
- ZOOM(온라인)
- 첨부자료 :
본문
제8차 청년전문가세미나
‘한러 청년의 사회 첫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’
가. 개요
― 청년분과위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11월 23일(목) 16:00-18:00 온라인 접속을 통해 ‘한러 청년의 첫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’을 주제로 제8차 한러 청년전문가세미나를 개최
― N.M. 크로파체프/이규형 양국 조정위원장과 김현철 조정위원(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원장)이 각각 개회사와 환영사, 축사를 시행
― 전성민 청년분과위원장, V.M. 필립포프 러측 분과위원장(국립러시아민족우호대 이사장), 이진원 분과 간사위원(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PBL부장), R.I. 볼콥스키 상트페테르부르크시 청년정책 및 공공기관협력위원회 제1부위원장, 장근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D.A. 바시나 민족우호대 외국인학생협회 코디네이터, 김문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V.S. 체르노고로도바 러시아연방청소년청 국제교류국장, 박선영 분과위원(한국체육대 스포츠청소년학과 교수), L.I. 야티나 상트국립대 청년활동부 제1차장,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정책실장 외 한러대화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, 상트국립대, 국립러시아민족우호대, 러시아연방 청소년청 등 대학과 기관 관계자 30여 명이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참여
나. 목적
― 사회에 처음 진출하는 한러 청년의 현실과 정책적 지원방안 공유 및 비교
― 양국 청년의 취업 및 실업 현황, 국가와 사회의 지원 방향과 지원책 공유
― 국내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시야 확대
다. 추진배경
― 한러 대학생대화와 더불어 청년분과위의 주력 사업으로서 2015년 한러 수교 25주년 계기에 양국의 청년 정책을 소개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정책포럼을 처음 개최한 이후 매년 시행
― 양국 청년 문제와 관련 정책의 내용,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기관의 현황 등을 파악하고 청년 정책 분야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 /양국 청년들의 중요한 현안 논의 필요
― 양국 청년 관련 연구 데이터의 축적, 상호 사회문화적 배경과 환경 공유 필요
라. 주요 논의주제
―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의 청년 정책, 교육 및 직업훈련 시스템
― 한러 청년 정책의 기본방향과 주요 프로그램
― 국가와 사회의 관심이 시급한 분야에 대한 지원책
― 인구 감소, 고용 축소의 시대 청년의 사회 첫출발 현황
마. 기대효과
― 한러 청년 문제와 청년 정책의 기본방향 및 실행 측면을 공유함으로써 청년 분야 한러 정책 및 전문가 교류 심화
― 양국의 청년 관련 국가기구와 연구기관의 활동 정보 공유로 경제위기 상황에서 양국 청년의 자립안전망 구축 및 정책 수립에 기여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